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연간 9만 명이용 혈액투석실 관리기준 전무

식약일보 | 기사입력 2018/10/12 [16:50]
전혜숙 의원, 혈액투석실 중 23.7% 혈액투석전문·8.8% 응급장비 전무 지적

연간 9만 명이용 혈액투석실 관리기준 전무

전혜숙 의원, 혈액투석실 중 23.7% 혈액투석전문·8.8% 응급장비 전무 지적

식약일보 | 입력 : 2018/10/12 [16:50]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국회의원(서울 광진갑)은 11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혈액투석실 관리기준 미비한 실태를 지적하고,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환자 안전과 감염병관리를 위한 혈액투석실 관리기준 마련하겠다는 답변을 얻었다.

 

최근 국내 만성신부전증 환자가 급격히 늘면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 전혜숙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해에 혈액투석을 받은 환자는 87,788명이다. 이는 2011년 62,974명에 비해 24,814명, 7년간 39%가 증가한 수치다. 환자 수 뿐 만이 아니다. 혈액투석기를 보유한 의료기관도 같은 기간 동안 770개 기관에서 993개로 223개 기관, 22%가 증가했고, 혈액투석 장비 수도 25,184대로 7년 전 16,986대에 비해 32%가 증가했다. 진료비는 증가 폭이 가장 크다. 2017년에 혈액투석으로 지출된 의료비는 2조 3,730억 원으로, 이는 2011년 1조 4,469억 원에서 9,260억 원, 64%가 증가한 수치다.

 

이렇게 연간 9만 명에 가까운 환자가 2조 4천억 원을 의료비로 지출하며 혈액투석실을 이용하고 있지만 운영 관리는 천차만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혜숙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제5차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 보고’에 따르면, 평가대상 기관 799개 기관 중 23.7%에 해당하는 189개 기관에 혈액투석전문의가 없었다.

 

요양병원은 더 심각했다. 95개 평가대상 기관 중 58개 기관, 전체의 61%가 혈액투석전문의도 없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경남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