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처분을 통해 △보관비용 절감, △쌀값 상승, △수입원료 대체로 외화 절감, △수확기 대비 정부양곡 창고 여석 확보 등 효과 기대
농식품부, 주정용·사료용 정부양곡 14만 톤 특별처분
특별처분을 통해 △보관비용 절감, △쌀값 상승, △수입원료 대체로 외화 절감, △수확기 대비 정부양곡 창고 여석 확보 등 효과 기대
식약일보 | 입력 : 2023/05/23 [14:14]
농식품부는 과잉상태인 정부양곡(미곡) 재고를 감축하기 위해 주정용 및 사료용으로 올해 말까지 14만 톤의 정부양곡을 특별처분할 계획이다.
지난해 수확기에 큰 폭의 하락세가 지속되던 산지 쌀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수확기 사상 최대 물량인 77만 톤(공공비축미 45만 톤, 시장격리 32만 톤)을 매입해 쌀값을 반등시키고 안정시켰다. 하지만, 이에 따른 정부 재고량도 함께 증가해 2023년 4월 말 기준 재고량은 170만 톤으로 적정 재고(80만 톤)를 크게 초과했고, 이는 정부양곡을 사료용으로 처음 처분했던 2016년과 유사한 상황이다. 과다한 재고 물량으로 보관료 등의 관리 부담 역시 높아졌고, 시중 쌀 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는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일반 쌀 시장과 경합이 없는 주정용과 사료용으로 각각 7만 톤씩 총 14만 톤의 쌀을 올해 말까지 특별처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정용은 7만 톤(국산 2021년산)을 추가해 총 22만 톤을 판매하고, 축산업계의 요청 등을 고려하여 사료용도 이번 특별처분에 포함해 신규로 7만 톤을 처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3년 정부양곡 총판매량도 당초 78만 톤에서 92만 톤으로 특별처분 물량만큼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식품부 전한영 식량정책관은 “이번 정부양곡 특별처분으로 2023 양곡 연도말(10월 말) 정부양곡 재고량도 당초 149만 톤에서 135만 톤으로 14만 톤 수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라면서, “이번 특별 처분을 통해 △정부양곡 보관비용 약 115억 원 절감, △사료용 및 주정용 수입원료 대체에 따른 외화 618억원 절감(사료 283, 주정 335), △2023년 수확기 대비 정부양곡 창고 여석 확보와 함께 △과잉물량 일부 해소로 쌀값 상승에 일부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주류협회 및 사료 관련 협회 등 유관기관과 세부 사항에 대한 논의를 거쳐 7월부터 본격적으로 정부양곡 특별처분이 실시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농산물품질관리원 및 유관기관과 합동 모니터링을 통해 특별처분된 쌀이 지정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사후관리를 철저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경남 기자
<저작권자 ⓒ 식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