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병원에 전문의 없어서 10건 중 3건 응급실 뺑뺑이 발생

강경남 기자 | 기사입력 2024/02/25 [16:07]

최혜영 의원, 2022~2023년 119 구급대 총 재이송 환자 9,414건
1차 재이송 9,111건 2차 재이송 242건, 3차 이상 재이송 61건

병원에 전문의 없어서 10건 중 3건 응급실 뺑뺑이 발생


최혜영 의원, 2022~2023년 119 구급대 총 재이송 환자 9,414건
1차 재이송 9,111건 2차 재이송 242건, 3차 이상 재이송 61건

강경남 기자 | 입력 : 2024/02/25 [16:07]

최근 의사정원 확대에 따른 전공의 파업 등 의사 집단행동이 이어지면서 강원 등 일부 지역에서 수백km 응급실 뺑뺑이 사례도 발생하는 가운데, 지난 2년간 119 구급대 재이송 환자 10명 중 3명은 ‘전문의 부재’로 재이송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혜영 의원은 “그동안 발생한 응급실 뺑뺑이 원인 파악해보니 전문의 부재가 가장 많았으며, 의료인력 확보부터 추진 필요하고, 지금 이시간에도 치료 가능한 병원을 찾아다니는 환자 생각해서라도 전공의 조속한 업무 복귀 간곡히 호소한다”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국회의원(국회보건복지위원회)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과 2023년 2년간 119 구급대 재이송 건수는 9,41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수별로 살펴보면 1차 재이송 건수가 9,111건으로 가장 많았고, 2차 재이송 242건, 3차 재이송 35건, 4차 재이송 26건 순이었다. 1차~3차 재이송 건수는 2023년이 2022년보다 감소했지만, 4차 재이송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9 구급대 사유별 재이송 현황을 살펴보면, 전문의 부재가 3,432건(36.5%)으로 가장 많았으며, 병상 부족 1,895건(20.1%) 순이었다. 1차 재이송과 2차 재이송 사유는 전문의 부재(1차 36.6%, 2차 33.1%)가 가장 많았으나, 3차 재이송과 4차 재이송은 병상 부족(3차 48.6%, 4차 61.5%) 사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재이송 현황을 살펴보면, 경기 지역이 2,267건(24.1%)으로 가장 높았는데, 1차 재이송 2,213건, 2차 재이송 36건, 3차 재이송 9건, 4차 재이송 9건이었다. 이어 서울 1,562건(16.6%), 대구 669건(7.1%), 충북 555건(5.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차 재이송의 경우, 경기, 서울, 대구, 전남, 강원, 경남, 창원, 제주 지역에서만 발생했는데, 경기 지역의 4차 재이송이 전체 4차 재이송 건수의 34.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