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식품산업協, GMO 수입현황 정보공개 우려입장 표명

식약일보 | 기사입력 2016/09/21 [12:16]
정보공개로 소비자와 국내 식품업계가 입을 막대한 피해 우려

식품산업協, GMO 수입현황 정보공개 우려입장 표명

정보공개로 소비자와 국내 식품업계가 입을 막대한 피해 우려

식약일보 | 입력 : 2016/09/21 [12:16]

한국식품산업협회(회장 이창환, 이하 협회’)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현황 정보공개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불안감 확산과 국내 식품 업계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의 입장을 표명했다.

 

이번 입장표명에서 협회는 GMO 수입량 정보가 공개됨으로써 식량수급 혼란과 물가상승 등 소비자에 미칠 피해와 국내 식품업계가 입게 될 막대한 피해와 손실에 대한 우려 GMO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을 자극하는 과학적 근거 없는 GMO 괴담에 대한 중단 요구 GMO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해 정부, 식품업계, 시민단체, 학계 모두가 협력해줄 것을 요구하는 등의 입장을 밝혔다.

 

GMO 수입현황 정보공개 관련 협회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GMO 수입량 정보가 공개됨으로써 소비자에 미칠 피해와 국내 식품업계가 입게 될 막대한 피해와 손실에 대해 우려한다.

 

우리나라의 GMO 수입은 식량자급률을 고려한 식량안보 차원이다. 우리나라의 2014년 곡물 자급률은 옥수수 0.8%, 두류 11.3%, 과거에 비해 자급률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

 

식용유나 전분당, 사료는 모두 가공식품 생산이나 식품조리 또는 양축의 필수적인 원료로서 기호식품과는 달리 가격이 상승하여도 반드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품이다.

 

GMO 수입량에 대한 정보 공개로 인해, 국내 가공식품 기피현상 등의 국내 식품업계의 손실은 물론, 옥수수, 대두 수급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또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소비 양극화와 서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내에 수입되는 GMO는 사료 및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식품용 GMO의 경우에도 단백질이 완전히 제거되어 유전자 변형과는 무관하다.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GMO농산물은 곡물 자급률이 10% 이하인 옥수수와 대두가 대부분이다. 또한 수입허가 단계부터 식약처의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 평가 지침에 따른 전문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철저한 안전성 관리 감독을 거치고 있다.

 

2015년 국내에 수입된 GMO농산물은 총 1237천 톤(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 기준)이며, 이 가운데 약 90%가 사료용과 산업용(종이·판지 제조용 등)으로 약 10%가 식품가공 원료로 사용됐다.

 

식품가공 원료의 경우 식용유, 전분당 제조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또한 단백질이 완전히 제거되어 유전자 변형과는 무관하며, 식용유 제조에 사용되고 남은 박()은 사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GMO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을 자극하는 과학적 근거 없는 GMO 괴담에 대해 우려한다.

 

FDA에서도 안전성을 인정한 GMO 식품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국가에서 20년 넘게 안전하게 소비되고 있다.

 

올해 7, 107(9월 현재 113)의 노벨상 수상자가 GMO의 안전성을 지지하며,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GMO 반대 운동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올해 5월에는, 미국 과학한림원(NAS)이 지난 20년간 GM 농산물이 인체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보고서에서 GM작물의 안전성을 확인해 주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생명공학에 의한 창조농업 혁신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GMO 단체의 반대 시위로 생명공학 연구가 위축되는 것을 우려하였다. 또한, 식품관련 9개 학회단체에서도 GMO의 정치 이슈화를 우려하는 성명서를 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과학적 근거 없는 GMO 괴담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먹을거리 전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한국식품산업협회는 국민들이 GMO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야 말로 국민의 식품안전을 위해 정부, 식품업계, 시민단체, 학계 모두가 협력해야 할 과제이다. 우리 식품업계는 정부의 식품안전정책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식품안전에 대한 지속가능한 투자와 고민을 계속해 나아갈 것이다고 밝혔다. 황준영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