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내년도 농식품부 예산·기금 16조 8,767억 원 확정

식약일보 | 기사입력 2021/12/03 [16:04]

- 내년도 비료 가격 급등에 대한 농가 및 비료생산업체 지원 반영
- 초등돌봄교실 과일 간식, 농식품 바우처 등 핵심사업 예산 증액

내년도 농식품부 예산·기금 16조 8,767억 원 확정


- 내년도 비료 가격 급등에 대한 농가 및 비료생산업체 지원 반영
- 초등돌봄교실 과일 간식, 농식품 바우처 등 핵심사업 예산 증액

식약일보 | 입력 : 2021/12/03 [16:04]

농심품부는 올해 예산 16조 2,856억 원 대비 5,911억 원, 3.6% 증액된 수준이다.

 

’22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 예산은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정부안(16조 6,767억 원)보다 2,000억 원 증가한 16조 8,767억 원으로 확정됐다.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는 비료 가격 부담 경감, 먹거리 지원사업,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출연 등 주요사업에 총 2,189억 원이 추가로 반영됐다.

 

요소 수급 불안 등에 따른 무기질비료 가격상승 전망에 대응하여 농업인들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무기질비료 가격상승으로 인한 농업인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우선 농협이 ’22년 무기질비료 가격상승분의 80%를 할인판매하고, 그 할인액은 정부·지자체·농협 등이 사후 협의하여 분담하되 정부는 적정예산을 반영하는 내용으로 예산 의결서 부대 의견이 확정됐다.

 

농업자금 이차보전 확대(2,640억 원→2,803/+163)를 통해, 농가와 비료생산업체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올해처럼 내년에도 농업경영자금의 금리를 1%P 인하해 농업인의 경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99억 원을 지원한다.

 

비료생산업체 대상 무기질비료 원료 구매자금 융자 규모를 6,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융자 금리를 3%에서 무이자로 인하하도록 예산 64억 원을 반영하여 비료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생산업체의 부담도 완화한다.

 

초등돌봄교실 과일 간식 72억 원, 취약계층 농식품 구매 바우처 89억 원,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 158억 원 등 먹거리 지원사업은 올해 예산 수준인 319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로써 초등학생, 취약계층, 임산부의 영양·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농축산물 소비 기반마련을 위한 먹거리 지원사업을 내년에도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게 됐다.

 

귀농인 등 증가하는 보증수요에 대응하고, 담보력이 부족한 농업인에게 좀 더 원활하게 신용보증을 공급될 수 있도록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출연금을 1,300억 원 규모로 확대했다.

 

농업인력 의존도가 높은 마늘·양파 재배 전 과정의 기계화를 촉진해 농촌의 인력감소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계화 시범단지 조성예산 35억 원을 반영했다.

 

 

농업·농촌의 탄소 중립 이행을 위한 기술개발 및 보급, 실태조사 등의 예산도 추가로 증액됐다.

 

벼 재배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도록, 대단위 쌀 생산단지에 간단 관개, 논물 얕게 대기 등 논물 관리에 필요한 농기자재와 연구 장비 등을 지원(28억 원 신규) 한다.

 

소 사육 시 발생하는 메탄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사육모델 마련에 20억 원을 확대(정부안 26억 원→46억 원)해 더 세밀한 연구가 가능하게 됐다.

 

축산환경조사 예산 14억 원이 추가 반영(정부안 14억 원→28억 원) 되어, 정확한 실태 파악을 기반으로 한 축산 부문 탄소 중립 체계 구축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축산물 소비를 활성화하고, 소비자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줄여줄 농축산물 할인쿠폰 사업이 계속되게 된다.

 

총 390억 원 규모로, 내년에는 약 380만 명의 소비자들에게 신선 농축산물 할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주요 채소류의 수급조절 물량을 평년 생산량의 17%에서 20%로 확대할 수 있도록 채소가격안정제 예산이 67억 원 증액(정부안 385억 원→452억 원) 됐다.

 

기후변화 등으로 농축산물 가격 불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주요 채소류에 대한 수급조절 기능을 강화하여 내년도 물가 안정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농업 SOC 142억 원, 노후농공단지 첨단화 3개소(28억 원, 1년 차), 청년 농촌 보금자리 1개소(8억 원, 1년 차), 공공급식 식자재 유통센터 설립 1개소(3억 원, 1년 차) 등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예산이 추가로 반영됐다.

 

한편, 집행이 부진한 일부 사업에 대해서는 예산이 조정(△189억 원) 됐다.

 

농식품부는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절차를 조속히 진행하는 등 ‘22년 예산집행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강경남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